|
Vad=Vcd,
I₂OVER Ix = Rx over R₂
평형이 되면 G에 흐르는 전류는 없으므로
I₁=I₂,I₃=Ix
그러므로
I₁OVER I₂ = R₃ OVER R₁ , I₁ OVER Ix = Rx over R₂ , Rx OVER R₂ = R₃ OVER R₁ , Rx = ( R₂ OVER R₁ ) ×R₃
이 된다. 1.멀티미터(Multimeter)
2.Wheatstone bridge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멀티 ()
저항선의 위치
()
오차
(mm)
(mm)
20
1회) 178
21
2.359551
1.23271
20
2회) 177.95
21.05
2.365833
0.969732
20
3회) 177.65
21.35
2.403603
-0.61124
평균
2.376329
0.5304
[2] 결과분석 및 오차 분석
① 측정장치 분석을 통한 결과 분석
- 휘트스톤 브릿지(Wheatstone bridge)
측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20.09.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5. 실험 결과
6. 과제용 질문 해결
6.1 검침봉을 저항선에 대고 왔다갔다하는 것과 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떤 연관을 갖고 있을까?
6.2 검류계의 값을 0으로 맞추는 것이 중요한 이유
6.3 휘트스톤 브릿지 활용 예시
7.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휘트스톤 브릿지의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1. 멀티미터를 이용한 기준저항 측정
2. 휘트스톤 브릿지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3. 기준저항1 의 길이에 따른 그래프
4. 기준저항2 의 길이에 따른 그래프
5. 결과분석
6. 결론
7. 오차
8. 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Wheatstone Bridge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Wheatstone Bridge 시스템과 기지저항, 그리고 멀티미터를 이용해 미지 저항 값을 색띠를 이용하여 알아내는 방법뿐만 아니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수치화하고, 비교해 봄으로 써 미지의 저항 값을 알아 낼 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5.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