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목GDP성장률인 3.8%보다 약 1%p 낮은 수치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물가상승률을 제거했기 때문이다. 실질성장률은 2016년이 2.9%, 2017년이 3.2%, 2018년이 2.9%, 2019년이 2.2%씩 성장했다.
③ GDP디플레이터
GDP 디플레이터는 2015년 100에서 2016년 102, 2017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GDP 성장률
‘15년 실질 GDP는 1658조 원에서 ’19년 1852.7조 원으로 11.7% 성장했다. 4개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2.8%로 명목 GDP의 연평균 성장률인 3.8%보다 약 1%포인트 낮은데 이는 물가상승률 차이로 발생한 것이다.
3) GDP디플레이터
GDP 디플레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GDP디플레이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3) 추이분석
1) 명목GDP
명목GDP의 추이를 보면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기초로 하여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기본적인 추세를 보면 2006년부터 제시되어 있는데 거의 아래로 향하는 그래프는 거의 없다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같다. 따라서 경기변동을 관찰할 때 어떤 지표를 사용할지는 중요하지 않다. 1. 경제전체의 소득과 지출
2. 국민소득에 관한 지표
3. 국내총생산
4. GDP의 구성요소
5. 명목GDP & 실질GDP
6. GDP 디플레이터
7. GDP와 경제적 후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2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한국방송통신대, 2001. 7
2.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 2000
3. 한국은행, 「2001년 국민계정(잠정)」, 2002. 3 1. GDP와 GNP
2. 실질GDP와 명목GDP, GDP디플레이터
3. 실질GDI와 실질GNI, 명목GNI
4. 우리나라 GDP, GNI 및 GNP의 예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