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규속약”등으로 군란으로 피해를 입은 것에 대한 보상을 받아내고 군대의 주둔, 개항장의 확대등 외교적인 성공은 거두었다. 그러나 개항이후 조선에서 차지하고 있었던 정치적, 경제적 우위는 청국에게 넘겨주고 후퇴하지 않을 수 없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위영(武衛營)과
장어영(壯禦營)의 양영으로 개편 정리하고 , 그 장(長)을 대장이라 하여 국왕의 친근자로 임명하였다. 그리고는 새로이 일본의 장교를 초빙하여다가 신식군사훈련을 가하여 별기군(別技軍)을 조직하였는데, 이 별기군은 국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위영, 장위영) 설치 → 친위대(1895)
1882
5월. 조미수호통상조약:최혜국대우최초,관세권최초, 치외법권인정
6월. 임오군란
7월. 제물포조약(박영효-태극기): 최초외국군대주둔허용
8월. 고종의 동도서기로 교서 - 척화비 철거
10월. 상민수륙무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위영(武衛營) P . 7
B.무위소P . 7
C.친군용호영P . 7
D.친위대P . 8
(2)한말후기 P . 8
A.경위원P . 8
5.대한민국(大韓民國)의 경호제도 P . 8
(1)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大韓民國 政府樹立 以前) P . 8
(2)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大韓民國 政府樹立 以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