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체들과 연대하면서 공해 문제를 사회구조적 입장에서 조명하는 질적 발전을 이루었다. 제 3기는 1987년 6월 항쟁 이후부터 1992년까지의 시기로서, 이시기를 순수 민간환경운동의 확산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1980년대 후반은 민주화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간단체 간담회
참석자: 고철환(서울대 해양학과 교수), 김진한(산림청), 한상훈(환경부 생 태계조사단실), 닐 무어스, 이태화(녹색연합), 박정운(녹색연합), 김경원(전남동부지역시회연구소),김춘이(환경련국제연대),장지영 (환경련 간사)
·7/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환경정책과 녹색운동』. 나남출판사.
김상용. (1997). 『자치행정과 시민단체』. 대구: 「시정연구」.
김성완. (2003). 비영리조직의 정책참여 활성화방안 연구 :환경정책에서 민간환경단체의 역 할을 중심으로. 대전: 배재대 국제통상대학원.
김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환경운동의 구조와 동학” 한국사회과학 20(3),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박석희(2003). “민간환경단체의 실태와 활성화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선웅, “참여적 시민사회의 모색 : 시민단체 활성화와 정부 기업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8.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환경정책과 녹색운동」, 서울 : 나남출판사, 1997
이시재(가톨릭대학교 사회학), ‘동강댐건설반대운동 - 환경분쟁의 해결모델로서-’
서주원(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환경갈등 해결을 위한 민간환경단체의 역할’
이선우, 문병기, ‘시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