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절인 \'단오\'를 현재사회에 맞게 계승 발전시켜야겠다.
Ⅵ. 민족명절-백종일
7월 15일을 백종일 또는 망혼일(亡魂日)이라고 한다.
불가에서는 15일 중원에는 모든 중들이 재를 올리고 불공을 드리는 명절이 있다. 유래로는 아마 대월씨의 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절을 즐겼다. 북한의 명절은 외부의 압력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으나, 한민족의 민족고유명절로 부활하여 계승되었다. 남북한 사람의 정서가 차츰 민족명절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옮겨지고 있다. 남북한의 음력설과 추석이 민족의 큰 명절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민족명절
해마다 일정하게 지켜 민속적으로 즐기던 날
-4대 민족명절
설날(1월1일)
한식(4월6일)
단오(음력 5월5일)
추석(음력 8월15일)
휴무일로지정하고는 있으나 휴무일을전후한
일요일을 선정하여 보충노동을 하는 것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5.06.0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전통 명절
2. 국가 경축일
3. 소수민족의 명절과 기념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9.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인의 절기★
★재미있는 중국인의 민속 풍속★
★중국 내 소수민족별 주요명절★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