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중 학살을 중심으로
프롤로그
왜 우린 킬링필드를 다시 봐야 하는가?
영화 ‘킬링필드’
‘킬링필드’의 조작적 정의
제 1기 킬링필드-미군의 폭격
1969년 ~ 1975년
민간인 피해 현황
폭격의 원인과 비밀로 붙여진 이유
결 과
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3.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중학살사건인 제주4ㆍ3과 여순, 거창(함양-산청),광주의 차이는 심중하다. 전자가 가장 공개되지 않고 해결에 난색을 드러내는 이유는 바로 남한정부의 정통성과 직접 불가분의 관련이 있기 때문. 제주4ㆍ3에 대한 공식적 논의의 회피와 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7.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중학살과 그에 대한 민중의 항쟁, 즉 ‘5.18’은 80년대에는 한국사회의 모순을 인식하고 그것을 극복하려는 진보세력에게 하나의 출발점이자 거점으로 존재했으며, 적어도 90년대 초반까지도 현재적 실천성을 담보하는 ‘살아있는 역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중항쟁 당시의 계엄에 관한 고찰, 민주주의법학연구회, 1998
◎ 김종민, 제주 4·3항쟁 : 대규모 민중학살의 진상, 한국역사연구회, 1998
◎ 양정심, 미군정·이승만 정권의 제주4·3항쟁에 대한 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2006
◎ 양정심, 4.3항쟁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중학살의 진상, 역사비평
박찬식(1999), 4·3연구의 추이와 전망, 민족문학작가회의 제주도지회
양한권(1988), 제주도 4·3폭동의 배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이성우(2011), 국가폭력에 대한 기억투쟁: 5,18과 4,3 비교연구, 경희대학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