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절(SA node)
ㆍ방실결절(AV node)
ㆍHis 줄기 (bundle of His)와 각(bundle branches)
ㆍPurkinje섬유
(1) 동방결절
심장에서 심박동을 조절하고 심박 조절자(Pace maker)로 상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위에 위치한다. 정상 환경에서 동방결절은 거의 분당 60~100회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로 나누어져 있다.
수축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경우 충격은 동방결절로부터 방실결절까지 비교적 천천히 전도되며, 방실결절은 심실에 충격이 전달되기 전 0.1초의 전도 지체가 있다. 충격은 동방결절까지 심방을 통하여 전달되며, 심방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Koch 삼각 부위에 방실결절이 있다. 현미경적으로 심내막 바로 밑에 있으며 섬유성 골격조직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His 섬유속은 방실결절에서 Koch 삼각의 앞쪽 꼭지점 부위에서 관찰되는데 이는 막성 중격의 뒤에 해당한다. 막성중격과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Coronary circulation
4. Cardiac Conduction System
5.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
6.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A-V node)
7. His 속(Bundle of His)
8. Cardiac Cycle
9. 순환계의 조절
10. 심근의 특성
11. 신경성 조절
12. 신장성 조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6.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실내압이 심방내압보다 낮아지면 방실판이 열리고 심방으로부터 심실로 혈류가 들어간다. 한편 동맥의 내압이 높아서 대동맥판 및 폐동맥판은 닫혀지게 되므로 혈액은 심실에 머물러 심실의 수축기에 심방에 충만되는 혈액이 급격히 심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7.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