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복의 특징
2. 남자 의복
1) 백관복
2) 일반 서민복
3. 여자 의복
1) 궁중 여복
2) 일반 여복
3) 속옷
4) 기녀복
4. 수복의 종류와 특징
1) 남자수발
2) 여자수발
3) 남자의 장신구
4) 여자의 장신구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관복, 선비복과 같은 특수복이 제정되기도 하였으며 임금이 바뀔 때마다 수없이 내려진 복식 금제만 보더라도 조선 시대에 한국 복식 문화가 어느 정도 발달하였는지를 잘 나타내 준다.
유교 이념의 추구로 복식 제도가 재정비 되었고 이
|
- 페이지 7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3.05.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관복
(3) 민서복, 편복
나. 여자 복식
(1) 왕비복
(2) 귀부녀복
(3) 민서녀복
Ⅲ. 조선 시대
1. 시대적 배경
가. 조선 전기
나. 조선 중기
다. 조선 후기
2. 조선시대의 복식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관복
고려 시대 백관복에는 제복, 조복, 공복, 상복이 있었다.
- 제복 : 의종조 상정 백관 제복은 계급에 따라 칠류면(七旒冕)칠장복(七掌服),오류면(五柳冕)오장복(五章服), 삼류면(三旒冕)삼장복(三章服), 삼류면(三旒冕)일장복(一章服), 평
의복 의복의 기원, 의복의 역사 원시시대, [의복의 역사] 의복의 기원, 원시시대, 삼국시대 복식_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복식, 통일신라시대 복식,,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관복에 속한다. 크기는 길이 : 123, 화장 : 97, 품 : 56이다. 소장품 번호는 민속000325이다.
백관복은 남성용 포(袍). 백관이 입는 관복을 말한다. 겉감은 검은색 갑사로 만들고 안감은 남색 항라로 만든 겹옷이다. 소매가 넓고 깃이 둥근 형태이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9,000원
- 등록일 2024.03.22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