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남준 VS 팝아트의 마이더스 앤디 워홀」숨비소리
이용우(2000)「백남준 그 치열한 삶과 예술」열음사
이용우(2000)「비디오 예술론」문예마당
이주헌(1999)「미술로 보는 20세기」서울: 학고재
김홍희(1999)「백남준 Happening Video Art」디자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남준 자신의 발상이며, 20세기말의 세기적 예술가로 지목되고 있는 백남준과 그의 비디오 아트의 창시가 한국의 개천절로 상징되고 있는 건 뜻 있는 일치라고 하겠다. 한편 다다익선은 많을수록 좋다는 고사로부터 연유된 명칭으로 여기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남준씨는 이런 말을 남겼다. 이는 인간들을 더 이상 매체에 끌리지 않게 하고, 이를 예술로 승화시켜 능동적으로 대체하여야 할 우리를 말해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자료
이용우 저, 『비디오 예술론』, 문예마당, 2000
강준만 저, 『커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캔버스와 물감 대신 모니터와 카메라, 스크
린으로 구성되는 현대 미술의 주요한 표현 수단. 1.포스트 모더니즘과 비디오 아트란???
2.비디오 아트 작가 백남준
-작가 약력
-작가의 특징
-작가의 작품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7.3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술은 삶의 연장으로서, 그 속에서 인생과 예술의 구분은 무의미해지는 것이다. 김홍희 〈백남준의 비디오, 비디오 이상, 비디오 이념〉《백남준ㆍ비디오때ㆍ비디오땅》pp.37-38 참조, 국립현대 미술관, 1992, 서울
통속물과 대중문화의 구현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