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ⅱ. 범어(산스크리트어) 문자 기원설
-ⅱ.1. 성현이 말하는 훈민정음의 기원
-ⅱ.2. 언더우드가 말하는 훈민정음
-ⅱ.3. 범어
ⅲ. 서장(티벳) 문자 기원설
ⅳ. 원 나라(파스파) 문자 기원설
Ⅲ. 한글에 대한 우리의 태도
※ 참고 자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2개 공용어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고전 언어이므로 일상어로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종교적인 면에서 보면 힌두교, 불교, 시크교, 자이나교 등의 예배용 언어이며, 그 권위는 현재도 아주 크다. 동아시아에서는 이를 범어라고 부른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6.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어(산스크리트어), 서장어에서 언어 역시 영향을 받았을 것이며 이에 대한 흔적은 종종 발견된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며 훈민정음 역시 예외가 아니었을 것이다. 따라서 기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Ⅱ. 본론
1. 신대문자
2. 전자란
- 고전 기원설
3. 아소카왕 비문의 한글
- 몽고문자 기원설(파스파 문자)
- 산스크리트어(범어) 기원설
4. 가림토 문자 기원설
5. 기타 기원설
Ⅲ. 결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어 : 고대 인도말로 주로 한문 번역된 불경을 통해 들어옴. 산스크리트어라고도 한다.
(袈裟(けさ) 僧(そう) 刹那(せつな))
②한국어 : 역사적인 관계가 가장 오래되었으나 다른 외래어와 달리 일본어에 깊이 자리잡고 있어 한국 어에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