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최초 북한 패션쇼 열림
ο 패션 현상공모전 개최
ο 패션화보<옷차림>이 출간 1. 시대적 특징
2. 주민 복장의 변화
3. 성별 의복의 변화
4. 계층별 의류 보급 기준
5. 유행 / 스타일
6. 전반적 특징
7. 북한 의생활의 실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5.05.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류배급의 신분상 차별
2. 내의류 부족
3. 신발의 종류와 공급 부족
4. 의류와 신발의 암거래
5. 빨래 도적의 성행
Ⅱ. 식생활 실태
1. 식량배급의 중단
2. 식량난으로 인한 소녀 등의 인신매매 성행
3. 북한군인과 꽃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주요 옷차림
60,70년대
평상복은 작업복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했지만, ‘가림복’이라고 불리는 외출복은 몇 번의 계기를 통해 달라져 왔다
1979년 4월
평양시 등 대도시 주변 인민들은 발전하는 시대의 요구에 맞게 유색복장을 착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9.1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에 확산된 “남한문화 확산”이 “한류영향”이 아니라 “글로벌화”의 영향이란 가설을 세운다면 어떤 결론이 나올지 궁금하다. 실제로 북한사회내부에는 남한문화나 상품, 의류, 뿐만 아니라 미국이나 일본, 러시아의 영향도 상당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8.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대영국 수출은 101만달러로 28.4% 감소하였지만 대영국 수입은 1,310만달러로 전년(1,100만달러)에 비해 1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주요 수출품목은 의류(40.1만달러), 카톤박스제조기계(17.5만달러), 플라스틱(15.9만달러) 등의 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