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주민 지원활동에 대한 통전적 이해, 대구여성회 자료집
5. 윤인진(2007),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실태와 정착지원 방안,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6. 통일부(1997),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7. 통일부(2007), 북한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료 : 북한이탈주민후원회('07)
참고자료 4 :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일부개정 2007.1.26 법률 제8269호]
개정이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지원의 방향을 "보호"에서 "자립 자활 중심"으로 심화하기 위하여 전문자격 인정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문기관: 시.도, 시.군.구에 1개 이상 설치
(시.군.구 통합가능)
. 자립지원시설: 아동복지시설 퇴소자 취업준비.보호
아동: 18세 미만(아동복지법)
. 아동학대: 유기.방임,성적 폭력, 보호자로부터 이탈
(경제적 착취x)
. 아동학대 예방교육: 연1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22.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탈주민 상담 현황 > (단위: 건)
상담
분야
취업
주택
건강
교육
지원
제도
심리
/정서
생계
/의료
가정
문제
법률
관계
기타
합계
상담
실적
11,817
3,863
9,497
8,223
6,645
11,234
1,930
4,757
3,191
12,959
74,116
(자료: 통일부, 2016)
3)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6.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모색)
3) 탈북가정지원사업 대상
-강남송파구지역 북한이탈주민 (31세대 - 70~80명)
4) 사업수행인력
- 팀장 1명/ 사회복지사 1명/ 직장체험 연수생 1명/ 자원봉사자 다수
5) 사업예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