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이해
◈ 김연철(2002), 북한 신경제 전략의 성공조건: 시장제도 형성과 탈냉전 발전 전략, 국가전략 제8권 4호
◈ 민경찬(2000), 남북한 음악교류의 현황과 미래, 학생생활연구, 제 5호
◈ 이도식(2005), 북한음악의 일반적 흐름과 통치지도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악계의 일부음악가들에서 나온 우리민족음악의 뿌리를 역사성, 시대성, 사회구조와 대중정서에 기초하여 찾아내고, 해방이후 계속 발전된 북한음악의 연구를 다방면으로 더 넓게 창작하여 공연으로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그 결과로 분리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음악의 내용은 북한 정권 수립초기부터 결정되었던 문제이다. 북한 음악의 방향과 음악인들의 역할에 대해 김일성은 1966년 4월 30일에 작곡가들과의 대담인 <혁명적이며, 통속적인 노래를 많이 창작할 데 대하여>를 통해 혁명가요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과 더불어 노래 보급
② 보천보 전자악단과 왕재산경음악단
③ 전혜영(인민배우)
) '휘바람’을 부른 북한 최고의 여가수이며, 북한을 대표하는 보천보경음악단에 소속되어있다.
과 리경숙(공훈배우), 김광숙(인민배우), 리분희(공훈배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공연예술단체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 문화체육부, 1997.
박동식ㆍ권용하, <우리식의 무용, 연극 및 교예음악>, 문예출판사, 1991.
서연호ㆍ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Ⅰ>, 고려원, 1990.
이상우, 극양식을 중심으로 본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7.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