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공중전화는 1993년 현재 2,720대로 남한의 1/105 수준이다. 또한 1000명당 시설수에 있어 남한은 6.47인데 반해 북한은 0.13대로 남한의 약 1/50 수준이다. 통신초기의 남북한간의 전화통화의 수요는 행정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통신과 기업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표 9. 남북한 통신시설 현황 비교
구분
남한(A)
북한(B)
비교(A/B)
일반현황
(1999)
총인구(천 명)
46,885
21,386
2.2배
총면적(㎞2)
98,480
120,540
0.8배
주요
회선
현황
유선전화
(1997)
총입회선수(천 회선)
20,421
1,100
18.6배
100인당 회선수
44.40
4.82
9.2배
이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IT 산업
2. 북한의 IT 산업의 현실
3. 북한의 IT 산업 가능성
4. 하드웨어 분야
5. 북한의 하드웨어
6. 소프트웨어 분야
7. 통신 분야
8. 남북한간 통신시설 비교
9. 북한의 IT산업 투자의 문제점
10. 북한의 IT 산업육성 노력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신기술이 작업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2003 Ⅰ. 정보통신기술(ICT)과 전자민주주의
Ⅱ. 정보통신기술(ICT)과 기술협력
1. 남북간의 기술적 이질감을 선결적으로 해소해야 한다
2. 현 상태에서 북한의 기술인력을 활용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경제 정상화를 위한 동아시아 협력과 한국의 연할,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2005.
국제금융기구로부터 차관 및 양허성 자금, 양자간 협력형태라고 할 수 있는 공적원조 등을 지원 받기 위해서는 북한의 국제금융기구 가입이 최우선적 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7.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