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값의 오차는 4%가 발생하였다. 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실험에서 사용한 유리의 굴절률이 정확하게 측정 되었는지 알 수가 없고, 또한 Power meter로 빛의 세기를 측정함에 있어서, 순수한 레이져의 세기 + 외부에서 작용한 빛(어두운 곳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
“속도 = 거리/시간” 이다. 실험에서 구한 데이터를 적용시켜 보면 “속도 = 20m / 100ns” 이므로, 광섬유 내에서의 속도는 약 2 x 108 m/s 로 생각해 볼 수 있다.
- 반도체 레이저 빛을 이용한 에돌이 발의 간섭 측정 실험
마지막 실험에서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은 완전한 암실에서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나오는 빛이나 햇빛이 실험의 오차 원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브루스터각의 이론값은 수식 4에서 을 대입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은 공기의 굴절률이고 는 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장치의 한계상 주기성은 확실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빛의 세기 변화추이로 볼 때 실험에서 사용한 레이저는 편광된 빛이라고 할수 있다. ⑤ 브루스터의 각 조사
실험 결과 반사각과 굴절각이 90o 를 이룰 때의 입사각, 즉 브루스터각은 (5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3.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각이 증가함에 따라 반사율이 증가하고, TM 모드에서는 브루스터각 까지는 반사율이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E 모드실험에서는 반사율 값이 잘 나온 편이었지만, TM 모드에서는 오차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1.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