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는 양에 속하고 리를 주관하므로 감초를 사용하여 음과 양을 조화케 하고 중초를 완화함이다.
重發汗而復加燒鍼,則二者皆有,以大損於陽矣.
거듭 발한하며 다시 소침을 가함은 2개가 모두 있음은 양에서 크게 손상함이다.
故用偏於助陽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방은 위 편에 나타난다.
(三二)
發汗,若下之,病仍不解,煩躁者,茯四逆湯主之。
32. 발한하고 만약 사하하여도 병이 풀리지 않고 번조하면 복령사역탕으로 주치한다.
茯四逆湯方
복령사역탕 처방
茯[六兩],人參[一兩],甘草[二兩炙]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맥산 보중익기탕의 일체 자보하는 약제는 모두 이 자감초탕처방으로부터 변화시킨 것이다.
傷寒用藥 終.
상한용약 종
상한론 약 사용편 마침 陰證 이중탕 도씨이중탕 치중탕 소건중탕 현무탕 사역탕 당귀사역탕 삼미삼유탕 자감초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역탕이오.
망양 2번째는 자한하면서 궐랭함이니 사역탕이요.
其三은 自汗嘔吐니 甘草乾姜[薑]湯이라.
기삼은 자한구토니 감초건강탕이라.
망양 3번째는 자한구토이니 감초건강탕이다.
凡汗不止者는 先服防朮牡蠣湯하고 次服 小建中湯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6.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방내에 6경을 따라 선택 사용한다.
凡言裏證에, 分傳經直中하니, 俱於前正方內에 選用이오,
범언리증에 분전경직중하니 구어전정방내에 선용이오.
이증을 말함에 전경과 직중병을 구분하니 모두 앞의 바른 처방 안에 선택 사용한다.
凡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