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국공신
2. 남평문씨와 고려 문벌귀족
1) 중시조 경절공(敬節公) 諱 익(翼)
2) 귀족가문과의 통혼을 통한 중앙 진출
3) 과거를 통한 관직 진출
4) 신흥문벌귀족으로서 정치적 활동
3. 고려 중대의 문벌귀족과 현재의 남평문씨
-참고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국남 식읍삼백호에 봉해지고, 추충협모안국공신의 호를 받았다. 1020년에는 특진검교태부 천수현개국자 식읍오백호에 봉해진 뒤 벼슬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1030년에 다시 관직에 나아가 문하시중 에 오르고, 이듬해 덕종이 즉위하자 개부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신책봉에 대해 설명
(개국공신 + 삼한공신)
(왕위 즉위 후 개국공신 2,000명
920년 삼한공신 1,200명 책봉)
중앙 집권 정책에 대해 설명
- 태봉의 관제 답습
(광평성 : 정책 결정 최고 기관)
(내봉성 : 행정 집행 기관)
(내의성 : 국왕의 측근 고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삼한을 통어하게 되시리다.”라고 하니 태조가 기뻐서 지금 이름으로 고치게 하고 비단옷을 주고 供奉職에 임명하였으며 항상 종군하여 태조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삼한을 통일한 후에는 궁중에서 왕을 모시었고 왕의 자 문에 응하고 있었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벽상공신이 됨. 중방(重房)을 강화하고 지방관에 하급 무신을 임명하여 그들을 회유하는 정책을 실시함.
⑺ 무신 정권의 수립으로 문신 귀족 중심의 지배 체제가 붕괴되고, 신분 질서가 동요 되자 천민들도 신분 해방을 내세우고 반란을 획책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2.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