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건

색상어 ‘검다, 희다, 붉다, 푸르다, 누르다’ 류 가운데 ‘검다’류 색상어의 용례가 한 곳도 없었음이 특이할 사항이다. Ⅳ. 색채어의 활용 사람의 얼굴에 제한되어 쓰이는 색채어로서 변별적 특징에 따른 어휘의 활용을 살펴보며 우리말에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색채어 설정에 있어서 형태론적 기준, 의미론적 기준, 사용상의 기준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형태론적 기준이란 단순성을, 의미론적 기준이란 관련되는 다른 색상어를 포괄하면서 의미의 중립성을 지니는 것을, 사용상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색채어 국어의 고유 색채어, 즉 기본 색채어는 ‘검정, 하양, 빨강, 파랑, 노랑’을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그런데 독특한 점은 그 기본 색채어의 형용사인 ‘검다, 희다, 붉다, 푸르다, 누르다’가 무수히 많은 어휘분화분절을 통해서 색상의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2.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을 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색채에 대한 독특한 관점이 작용했다고 생각한다. 본래의 색이 아닌 비슷한 색채어가 우리나라에서 특히 발달하였는데 이는 다른 나라에서 정해진 방법에 따라 한 가지 표현에만 색상 의미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8.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색채어의 낱말밭, 한글, 한글학회, 1949 린다 홀츠슈에 저, 윤희수 역, 색채의 이해, 미술문화, 1999 박혜원·신수정 공저, 색 읽고 보는 눈, 서울 : 도서출판 양지, 2000 정동주, 민속과 한국의 색채2, 미술세계, 1991 정시화(국민대 교수), 한국인의 색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