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 분비관(secretory duct), 및 배출관(excretory duct)을 통해서 배출된다. 어떤 샘에서는 근육상피세포(myoepithelial cell)가 바구니처럼 싸고 있어서 분비물 배출에 관여한다.
3) 감각상피(sensory epithelium)
-감각세포(sensory cell)가 존재하는 부위: 후각 미각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 장액세포들이 반달(demilune) 모양으로 보인다. 따라서 혼합샘에 나타난다. 주로 점액세포로 구성된 혀밑샘에 가장 많다.
* Salivary corpuscles
degenerating granulocytes & lymphocytes originating from tonsils & lymph noduless on the back of tongue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cell, B cell 분비 억제
(4) D1 (type IV)
-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5) PP pancreatic polypeptide(PP)
(6) EC (enteroendocrine)
- 5 HT (serotonin), motilin, substance P
(7) C(clear) cells
- 비과립성 세포
- 예비세포/휴식세포
* 이자조직과 귀밑샘의 현미경적인 차이
1. 췌장섬(i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포, 림프구, 생식샘은 높고, 위장관의 점막세포, 혈관 내피세포, 유방 및 췌장의 샘상피세포, 방광의 상피세포, 뇌조직은 중간정도이며, 뼈, 연골, 근육, 말초신경은 낮다. Ⅰ. 제 8장 종양(신생물)
1. 제1절 종양의 분류와 명명
2. 제2절 종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4.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술잔세포(goblet cell)
직장에서도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
직장 점막층(tunica mucosa)에는 장샘(리베르퀸움 crypt of Lieberkhn)이 있으며 장샘의 길이는 결장(colon)보다도 더 길다. 상피는 단층원주상피이며 대부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