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佛祖直指心體要節)」
7.2.4「자비도장참법집해(慈悲道場懺法集解)」
7.2.5 기타(其他)
7.3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인쇄기관(印刷機關)
7.3.1 서적점(書籍店)
7.3.2 서적포(書籍鋪)
7.3.3 서적원(書籍院)
7.3.4 주자소(鑄字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로서 고려 초에는 내서성이라 칭하던 것을 위와 같은 순서로 개칭하였다. 이들은 국가 출판 기관의 구실을 했으며, 문적뿐만이 아니라 초제향문이나 판목까지도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쇄 작업은 서적점이나 서적포에서 행해진 것으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적점약점과 술 차를 파는 주점, 다점 등 관영 상점을 두기도 함.
비정기적인 시장도 존재 - 도시 거주민들이 일용품을 매매.
경시서 설치 - 매점매석 감독.
② 지방에서도 시장 발생
③ 사원수공업 발달
④ 고려 후기에 이르러 도시와 지방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4.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