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7건

국어사 자료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2. 이기문,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9. 한국국어학연구회, 국어사 자료선집, 도서출판 박이정, 1995. 1. 훈민정음 이전 2. 세종대 3. 단종대 4. 세조대 5. 성종대 6. 연산군 7. 중종대 8.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국어 단어의 어두음 표기에 사용. - ‘ 11 ’ ; 어중음 표기에 사용. → 원각경 언해로부터 전면적 표기 폐지. ** 예 ) ‘쓰 → 스 쏘 → 소’ 로 표기. → 16세기 어두음 표기의 ‘ㅆ’ 는 다시 부활. (12 는 그렇지 못했음) 합용병서 = 서로 다른 문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국어 단어의 어두음 표기에 사용되었고 ‘’는 어중음 표기에 사용되었다. 解例 合字解에 “各自書 如諺語·혀爲舌而爲引 괴·여爲我愛人而괴·爲人愛我 소·다爲覆物而쏘·다爲射之之類”라 있다. 위에 든 것들 외에 매우 드문 예로 ‘’(훈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국어의 초성 표기에 사용됨.(쓰다(書), 쏘다(射), 다(引) - 각자병서는 대부분 고유어의 표기에서는 어미 -ㄹ 아래에서 사용됨. ◎ ‘’는 어중음 표기에만 사용됨. - 괴여, 괴 ◎ - 어중음의 표기에 사용되었음. - 형태음소론적 표기에 지나지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국어국문학 논문집 제27집, 서울사대 국어국문학연구회 주강현(1994), 굿의 사회화 허호익 교수, 굿의 절차 하효길 외 4인(2003), 한국의 굿, 민속원 Ⅰ. 굿의 종류 Ⅱ. 굿의 구조 Ⅲ. 안동 별신굿의 근원설화 Ⅳ. 안동 별신굿의 진행절차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