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Ⅴ. 소출력라디오방송의 운영 방안
1. 운영주체
ㅇ제3섹터 유형: 반관반민, 공영도 아니고 민영도 아닌 형태의 비영리 법인
ㅇ지역의 공동체가 설립 주체로 참여: 지방정부, 학교, 병원, 공공단체, 민간단체, 시민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출력 라디오 방송의 광고방송이 허용이 되는 법안은 통과를 했습니다. 시행이 늦춰지고 있지만 광고가 행해지면 재정적 안정은 어느 정도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마포FM을 비롯한 소출력 라디오 방송국은 광고에 대한 의존보다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업자를 모집하면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소출력 방송에서 광고를 방송 할 수 있게 하려는 움직임이 있는데 이는 현재 이루어지는 600만원의 방송위원회 지원금을 끊기 위한 방안으로 볼 수도 있다. 시행령의 변화로 광고 가능 하지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출력라디오의 기능을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4) 인력
지역방송의 소요인력은 기존의 지역방송 인력을 고려하되, 가능한 한 최소의 인원으로 방송을 운영한다는 원칙을 지킨다. 방송개발원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방송국 개국시 최초의 인력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출력 FM과 지방분권, 서강대학교 제 3회 언론 대학원 학술대회, <언론개혁과 뉴 미디어 정책> 발표논문집
송해룡(2002), 디지털방송 시대 방송전문화 경향에 관한 연구: 다매체 다채널에 따른 편성전략을 중심으로
송민정(2001), 다채널 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07.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