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 시료의 비열 측정
예비실험을 통해 필요한 양을 결정하라.
(1) 실온에 가까운 질량
m_{ 1 }
의 물을 열량계에 넣고 온도
T_{ 1 }
를 측정한다. 물의 양은 시료가 열량계 내에서 잠길 정도로 정한다.
(2) 질량
m
, 비열
c
인 시료(알루미늄, 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량계 젓개나 온도계로도 열의 이동이 있으므로 완벽한 열의 차단은 이루어 지지 못한다.
시료의 질량이나 물의 질량을 측정할 때도 오차가 발생한다. 이어진 반복된 실험으로 인해 앞서 생긴 오차에 다시 또 다른 오차요인이 있음으로 인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못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고체시료를 열량계로 신속하게 이동시키지 못해서 정확한 값을 얻지 못했을 것이다. 질량의 경우에는 여러번의 실험으로 저울이 불균형했음에도 불구하고 미리 발견하지 못하여 잘못된 값을 측정했을 수도 있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량계에 찬물과 끊인물을 섞었을 때 역시 젓개로 충분히 저어준 후 일정시간 열적평형상태임을 확인하고 온도를 읽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고체 시료를 가열할 때에는 비커 중간에 그리고, 바닥에 대이지 않고 가열해야 했다. 이 실험에서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량계의 단열 문제에서 온도차가 났다고 볼 수 있다. CuSO 5HO 를 열량계에 투입할 때 시료를 깨끗이 털어 넣기 위해 열량계의 뚜껑을 오래 열어두어 시료를 넣 는 도중, 열이 빠져 나갔을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이번 실험은 열량계의 단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