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네 모서리에 단면원형의 나무기둥을 세웠음을 확인했다. 이것은 묘광의 평면형태가 장방형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세장방형으로 변한다. 세장방형으로 바뀐 것은 부곽을 설치한 결과이다. 신라고분의 변천
***기원전1세기~기원후 3세기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분연구, 일지사, 1977
김기웅 - 고분, 대원사, 2000
김용성 - 영남대학교 박물관 제 26기 문화강좌 일반과정 신라고분의 변천성격, 2002
송석상·이강승 - 그림으로 배우는 우리의 문화
양인구 - 한반도의 고분, 아르케, 2000
이남석 - 능산리 고분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천, 백제의 조각과 미술, 공주대학교박물관
▷ 이형구(1991), 한국고대문화의 기원, 도서출판 까지
▷ 진홍섭(1992), 금동불, 서울 대원출판사
▷ 최병헌(1992), 신라고분연구, 일지사 Ⅰ. 고구려시대의 회화 미술
1. 4C-5C 초(평양 천도 전)
2. 5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분을 정리하면서 벽화분이 가지는 가치와 그 내용, 백제고분을 통해서는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아 축조된 무령왕릉을 통해 알게된 것들, 신라고분이 가지는 구조의 특이성에 의한 많은 유물의 발굴, 가야고분의 가야의 특색 등을 정리하며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 적석분구묘
3. 동남부지역
1) 토광목관묘
2) 토광목곽묘
3) 옹관묘
Ⅳ. 삼국시대
1. 고구려
1) 적석총
2) 봉토석실분과 벽화분
2. 백제
3. 신라
4. 가야
1) 목곽묘
2) 석곽묘
3) 횡혈식 석실
Ⅴ. 통일신라와 발해
1. 통일신라
2. 발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