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행하는 모든 의례를 말하는데 전안례, 교배례, 합근례를 포함한다.
○ 후례는 대례가 끝난 뒤 신부가 신랑 집으로 오는 의식과 신랑 집에 와서 행하는 의례를 말한다
〓〓〓〓〓〓〓〓〓〓〓〓〓〓〓〓〓〓〓〓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통혼례와 현대결혼식의 비교분석 및 바람직한 결혼문화의 방향
Ⅰ. 전통혼례
1. 전통혼례의 유래와 의미
1) 음/양
2) 기러기
3) 닭
2. 전통혼례의 절차
1) 혼례식 전
2) 혼례식 후
3. 전통혼례의 복장
1) 신랑혼례복
2) 신부혼례복
Ⅱ. 현대결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랑혼례복
■ 신부혼례복
유래와 의미
음/양 결혼은 세상 이치의 2가지 근본 요소인 음과 양의 완전한 결합과 균형을 의미합니다 : 음은 어둠과 여성을, 양은 밝음과 남성을 각각 의미합니다. 종종 결혼식을 해질 무렵에 치르는데 이는 밝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납폐
4)친영
5)폐백
4. 전통혼례 의복
1)신랑혼례복의 역사
2)신부혼례복의 역사
5. 전통혼례 음식
1)초례상(醮禮床)
2)폐백음식
3)이바지음식
Ⅲ 결 론
1. 전통혼례와 현대혼례의 비교
2.결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타지 않는 색이 좋으며 명주,보본단 등 고급스러운 원단으로 입는 경향이 많다.신랑 긴두루마기는 수직본견원단을 많이 입으며 짙은 곤색,검정등으로 거의 유행이 없다고 할 수 있다. 1.요즘 혼례복의 유행
2.혼례복의 재질
3.결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