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머리말
2. 패총이란
1) 패총의 개념
2) 패총을 연구하는 이유
3. 신석기시대의 패총
1) 통영 연대도유적
2) 하동 목도패총
4. 원삼국시대의 패총
1) 사천 늑도유적
2) 해남 군곡리패총
5. 맺음말
6. 세미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패총에서 흔히 출토되는 골각기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동물의 뼈로 만든 도구
와 패제품은 한 점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 유적이 굴채취를 위한 임시주거지였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Ⅲ. 맺음말
- 종합적으로 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머리말
Ⅱ. 신석기시대 패총
1. 패총이란?
2. 패총의 형성과정
3. 지역별 ․ 시기별 특징
4. 패총의 조사와 분석
5. 부산지역 패총 유적
Ⅲ. 동삼동 패총을 통해본 신석기인들의 생활
1. 동삼동 패총 개요
2. 동삼동패총 출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석기시대의 주거환경
1. 주거형태
2. 주거유적
Ⅷ. 신석기시대의 토기
Ⅸ. 신석기시대의 석기
1. 석기
1) 어로용
2) 수렵용
3) 농경용
4) 일상용구
2. 골각기
1) 어로구
2) 수렵구
3) 농경구
4) 일상용구
Ⅹ. 신석기시대의 패총
참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패총(http://www.heritagebusan.com/htg/htg24.htm)
임효재,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사」,(한국고대학회, 2006)
한영희, 「신석기시대의 사회」,『한국사』(한길사, 1994)
한국중앙박물관, 『동삼동패총Ⅰ~Ⅳ』
『신석기시대 동삼동패총이야기』, 패총박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