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화점고」,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한국한 논집 11권, 1987), 5면.
여증동,「쌍화점고구」,『향가여요연구』,반도출판사, 1985.
김상철,「‘쌍화점’과 ‘삼장’의 관계 고찰」, 『고려시대 시가의 탐색』,경인문화사, 2004.
김퇘덕,「‘쌍화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시가교육론>
쌍화점(雙花店)
1.원문과 작품개요.
<쌍화점 원문>
雙花店에 雙花 사라 가고신
回回 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店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감 삿기 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쌍화점」은 현존하는 고려시대의 궁중속악가사(宮中俗樂歌詞) 중에서 「만전춘별사」와 함께 조선조에 이르러 ‘남녀상열지사’의 대표적 작품으로 논의되어 왔다. 「쌍화점」은 『악장가사』에 전 4연이 국문가사로 전하고 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쌍화점> 과 <만전춘>, 이 두 가지가 있는데. 이중 <쌍화점>은 당시 부패하고 타락한 사회를 비판이 담긴 노래이며, <만전춘>은 고려시대 평민사회 남녀 간의 사랑과 성애적인 표현을 중의적으로 잘 표현한 노래이다. 그럼, 지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용을 암시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쌍화점」은 각 연마다 동일한 형식을 이룬다. 대략적인 내용은 쌍화점에 쌍화(만두)를 사러 갔는데 그 가게의 주인인 회회아비(몽골상인)가 자신의 손목을 잡게 된다. 여기서 손목을 잡았다는 것은 성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4.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