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아에 다자간 안보공동체가 설립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Ⅶ. 결론
새로운 다자간 안보협력체를 신설하기보다 KEDO라는 기존의 대화협력채널을 활용하며, ARF나 CSCAP, NEACD 등 기존의 다자안보협의체 및 2국간 동맹과 중층적으로 연계되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보포럼(ARF), APEC, NEACD, ASEM 및 ASEAN+3와 같은 다자경제 및 안보협의체 등을 통해, 기존 가입국들로 하여금 북한의 가입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하려는 우리 정부의 노력은 무척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의 통일외교는 국제화, 세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체를 조기에 이루어나갈 수 있도록 주변국 특히 중국과 북한을 설득할 수 있는 논리와 방안을 지속적인 대화와 교류협력을 통해 적극적으로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3. 한미동맹의 재조정
한국정부는 통일외교의 측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협력 현황
(3) 동북아 경제협력이 한국에서 갖는 의미
3. 동북아 정치 부분에 있어서의 협력방안에 대한 연구
(1) 對美전략
(2) 對日전략
(3) 對中 전략
4. 동북아 안보 부분에 있어서의 협력방안에 대한 연구
(1) 다자간 안보협력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5.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입장이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북한의 참여가 유동적이라는 점과 일본과 중국에 의한 아시아의 지역패권경쟁의 가능성 및 군사력의 증강, 현대화 등이 동북아시아의 다자간 안보협력을 어렵게 하는 핵심적인 과제로 부상될 것으로 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