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0건

굿의 공연원리와 연행적 성격, 호남지방의 풍물굿을 중심으로 임재해·김수남(1998) / 안동 하회 마을, 대원사 조흥윤(1990) / 무와 민족문화, 민족문화사 Ⅰ. 충청북도 앉은굿 1. 일반적 성격 2. 분포 현황 Ⅱ. 충청남도 사혼굿 Ⅲ. 전라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1. 굿의 의미 굿 이란? 무속의 행위로 불행을 예방하고 평안을 유지하고자 무당에 의해 행해지는 종교적의식. 2. 굿의 기능 집안, 마을, 국가의 안전과 태평 기능 치병기능 영혼천도기능 조상, 신령접대기능 놀이기능 전통문화 전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9.07.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앉은굿과 웃다리 농악 (1) 앉은 굿 -대전을 비롯한 충청지역에서는 남자 무당인 법사에 의해 정숙히 진행하는 앉은굿 이 주류를 이룬다. (2) 웃다리 농악 -대전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다른 지역의 농악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칠채가 락과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굿놀이라고 하는 무의에서 낭송되는 무가(희곡가 같은 성격) 라) 무가의 구연방식 ① 신단을 향해서 구연하는 경우, 신단을 등지고 구경꾼을 향해서 하는 경우 ② 앉아서 하는 구연(앉은굿), 서서하는 구연(선굿) ③ 자신이 직접 반주를 하면서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굿의 종류와 명칭 *형태에 따른 분류 굿은 형태에 따라 크게 선굿과 앉은굿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선굿은 무당이 서서 하는 굿으로 일반적인 굿을 뜻하고, 앉은굿은 충청도 지역에서 무당이 앉아서 주로 독경을 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