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동기는 다른 압축식냉동기에 비해 회전부분이 적어, 정지기계에 가깝기 때문에 비교적 소모부품이 적은기계라 말할수 있다. 그러나, 진공상태에서 사용된다는 것, 내부에 사용하는 흡 수액이 부식성이 강한 리듐브로마이드 수용액이라는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각각의 과정에서 작동이 달라짐에 따른 COP계수의 변화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 다른 실험에 비해 이해하기 어려웠고 시간적으로도 많이 걸려서 힘들었지만 냉동기에 대한 지식을 좀 더 넓일 수 있었다는데 보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냉동기는 1.3557MPa에서 1.3263으로 감소하였고 열펌프는 0.4737MPa에서 0.4345MPa로 감소했다. 그 결과 선도가 수평으로 움직이지 않고 약간 아래로 떨어지는 이상값과의 차이를 보였다.
☞ 원인은 관내 마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물론 약간의 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축기를 작동시킨다. 압축기 작동순서는 냉동기 성능 실험의 과정 ④와 같다.
⑤ 정상상태가 될 때까지 최소한 10분을 기다린다.
⑥ 응축기 입출구에서의 온도(T4, T3)와 압력(P4, P3)을 읽어서 Table 3-5에 기입한다.
⑦ 증발기 입출구에서의 온도(T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축기로 보내진 냉매증기 외에 남겨진 냉매액은 하부에 고이게되어 두 번째 Orifice를 거쳐 증발기로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냉매액은 Orifice에 의해 증발기내 압력까지 감압되고, 증발기내 온도까지 강하한다.
냉매는 냉동기내에서 증발, 압축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