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노드 영역과 캐소드 영역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부식의 형태.
강자성 (ferromagnetic)
; 자성재료의 한 분류로, 이웃한 자기 쌍극자들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정렬하여 강한 내부 자기장이 형성되어 있는 재료. 강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에 대해 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 디코더의 동작을 살펴본다.
7-segment
- 위의 사진은 7-segment로, 7개의 마디와 1개의 점 및 10개의 핀을 가지고 있다.
- 7-segment는 애노드 공통형과 캐소드 공통형이 있으며, 애노드 공통형이 주로 사용된다.
- 위의 사진은 애노드 공통형 7-segment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3.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애노드와 캐소드사이의 전압은 정격전압으로 제한하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압 변화는 스너버 회로(snubber circuit)로 해결한다.
SCR전류를 지시한 방법으로 증가한다면 과 값도 증가한다. 이 과정을 계속하면 과 값의 합은 1 로 되며, 식 (7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애노드(A)가 된다.
4) 극성판별하는 이유
극성연결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빛을 감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수광 소자로써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요한건 PD가 빛을 받으면 전류가 캐소드에서 애노드로 흐르므로 PD의 애노드는 (-)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애노드 공통형(common-anode type)과 캐소드 공통형(common-cathode
type)의 2가지가 있다.
위의 그림은 2가지 타입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었다. 애노드 공통형은 A형, 캐소드 공통형은
K형이라고도 부른다.
애노드 공통형은 말 그대로 각 LED의 애노드 단자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