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성초의 정의
학명: Houttuynia cordata
과명: 삼백초과
속명: 취재, 팔관채, 십약, 즙채, 중약초, 약모밀
분포지: 아시아 동남부, 일본
한국의 해안가, 음습지
개화기: 5~7월
용도: 약용(전초), 관상용
어성초의 주요성분
어성초의 효능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1.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약모밀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삼백초(송장풀)
Fabaceae 콩과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Membranaceus. 황기(단너삼)
Lamiaceae 꿀풀
Thymus quinquecostatus var. japonica Hara. 섬백리향
Salvia chanryo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Agastache rugosa (Fisch. & Mey.) Kuntze. 배초향(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약모밀의 전초를 햇빛에 2일 정도 쪼이어, 그늘에서 말려 하루에 30g씩 달 여서 복용한다.
- 자귀마무 껍질 10g,대황22g,감초 3g을 함께 달여서 1일 3회 식전에 복용한 다.
- 일엽초의 말린잎 10g을 달여서 1일 3회 복용한다. 임질에 특효가 있다.
- 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약모밀, 낙우송,버드나무 등이 있다
4) 수생식물 (hydrophyte) : 물속에서 자라는 식물로서 줄기나 잎은 통기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고, 뿌리는 수중의 바닥에 뻗으며 잎은 수면위에서 자라거나 물위를 떠돌아 다니는 종류를 말한다. 연꽃, 수련, 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4.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魚腥草
어성초
(擦身,爲汗。)
어성초로 몸을 문지르면 땀을 낸다.
烏頭末
오두가루
(發時,酒調,塗背上。)
오두가루는 학질 발생할 때 술로 섞어서 등 위에 문지른다.
鬼箭羽
귀전우
(同鯉甲末,發時鼻。)
귀전우는 능리갑가루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