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곡> 등과 함께 궁중악에서 제외되었다. 1. 현대어의 원문과 어휘적 논의 1) 원문과 현대역 2) 어휘적 논의 2. 결합양상 1) ‘구슬노래’의 논의 2) 노래의 짜임과 형성과정 3) 의미단락 구분 3. 화자의 성격 및 의미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9.05.1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격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어느 한 가지 범주로 규정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어지다’가 접사적 성격에 보다 가까이 하고 있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어지다’는 의존 형태소이며 형식 형태소이고 선행요소와의 결합에 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격 및 유형
1.1 관용어의 성격
1.2 관용어의 유형
1.2.1. 체언형 관용어
1.2.2. 용언형 관용어
1.2.3 미완결형 관용어
2. 관용어와 어휘부
2.1. 어휘부의 성격
2.2. 어휘부에서 관용어, 합성어, 구의 관계
2.2.1. 관용어와 합
|
- 페이지 8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같은 책명으로 출판된 것을 1995년에 영인한 것임).
Chambers, J. K and Trudgill, P.(1980), Dialectology, Cambridge Univ. Press.
Francis,W.N.(1983), Dialectology : An Introduction, London and New York:Longman. 1. 머리말
2. 조사 과정
3. 어휘적 특징
<참고 문헌>
|
- 페이지 5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2.어휘적 명사화와 통사적 명사화
2.1 어휘적 명사화
2.1-1 어휘적 명사화란?
2.1-2 전성념사
2.2통사적 명사화
2.2-1 ‘-음’,‘-기’
2.2-2 ‘-아/어, -게, -지, -고…’-역사적 기원에 의한 확대‧진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