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의 자극적인 자살보도를 막는다고 해서 자살 건수를 줄일 수 없는 게 사실이다. 자살을 함으로써 자신이 겪었던 모든 문제가 사라지는 건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가족들과 주위사람들에게 씻지 못할 아픔을 남기는 것은 아닌지 또, 조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0
srchcu, \'모방 자살‘ 부추기는 보도행태 심각, 2008. 10
유병규, [통계 뒤집어 보기] 한국판 ‘베르테르 효과’ 매경이코노미 칼럼, 2009. 9
miso935, 언론이 모방 자살에 책임이 있는가?-찬성, 대전외국어고등학교 시사동아리
곽수연, 언론이 모방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살예방협회 오강석 기획위원장(자살예방의 사회적인 협의필요성) 200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동우 박사(자살자의 유명인 동일시와 자살현황) 2007
채정호 가톨릭의대 성모병원 정신과 교수 『악플의 병리학』2007 1.서 론
2.자살 및 모방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0.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살사건의 완성or 시도의 여부, 자살사건의 보도수단 등에 따라 모방자살의 효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 결과 연예인이나 유명인사들의 자살보도가 그렇지 않은 자살보도보다 14.3배 더 모방자살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0.3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든다.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자살에 대한 자체적인 보도권고안을 이미 가지고 있으며, 자살보도를 자제하고 보도시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모방자살을 최소화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실제로 특정 자살형태에 대한 언론의 보도자제가 그러한
|
- 페이지 11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