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한 지구둘레의 측정
결과
- 지구둘레를 46,250km로 측정
- 실제 지구둘레 40,000km보다 13%과대측정
측정방법의 문제점
- 시에네와 알렉산드리아의 위치 1. 에라토스테네스
2. 포시도니우스
3. 스트라보
4. 프톨레미
5. 참고자료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1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스트라보는 〈지리학 Geography〉을 편찬했는데, 이것은 대단히 귀중한 자료의 수집이며 문학적으로도 높이 평가 된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리'를 수학 교과서로 사용했다. 평면 및 입체 기하학의 포괄적인 이 교과서의 논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다는 테라스나 발코니에 “돌출하다 또는 내밀다”는 뜻을 가진 그리스말 kremastoskremastos나 라틴어 pensilispensilis를 부정확하게 번역한 결과이다.
기원전 1세기경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보(StrabStrabo)는 공중정원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연구회, 한울아카데미, 2003
훔볼트의 세계, 데즈카 아키라(저), 정암(번역), 2000
근대 지리학의 개척자들, 데즈카 아키라(저), 정암(번역), 1998
인터넷 다음 카페 1. 스트라보(Strabo)
2. 프톨레마이오스(Ptolemaeos, Klaudios)
3. 바레니우스(Vareni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이지만 헬레니즘 세계를 정복했던 로마는 역으로 헬레니즘 문화에 정복당하여 그 문화를 로마시대에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참고문헌>
Peter Rietbergen, 유럽 문화사 , (知와 사랑 : 2006)
민석홍, 西洋史槪論 , (삼영사 : 2002 )
김경묵 우종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