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치 못해 시약의 밀도가 변한 것 같다.
둘째. 에탄올이 휘발성시약이므로 실험 중에 대기 중으로 약간의 손실이 생겨 밀도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셋째. 초시계도 측정할 때 점도계에서 a와b지점을 지나는 순간이 너무 빨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4.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지시키지 못한 것이다.
에탄올은 휘발성이 높은 편에 속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상온에 방치하게 되면
증발하기 때문에 실험을 진행하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시료용액을 제조하고 비중병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지체된 시간동안 용기의 입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7.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밀도
2) 고체 밀도
3) 비 중
4) 굴절율
3. 실 험
1) 기기 및 시약
2) 실험방법
4. 결 과
1) 액체(에탄올)의 비중
① 비중병으로 측정한 값
② 비중계로 측정한 값
③ 비중계로 측정한 비중과 비중병으로 측정한 비중값의 비교
2) 고체(구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되는데, 이때 장미 기름은 밀도가 낮아 물 위에 떠 있게 되므로 물과 분리하여 장미 기름을 수집한다.
11. Reference
PHYSICAL CHEMISTRY LAB, 이학일, 노승백, 최중재, 계명대학교 출판부, p.31~35
Chemistry and Technology of Flavours and Fragrances. Blackwell Publishing, Row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정확성으로 인하여 정확히 눈금을 읽지 못하고 정확히 시료 및 용액을 투여하지 못한 이유가 있겠다. 1. 비중병을 이용한 증류수의 밀도 측정.
2. 물-NaCl 계의 성분별 분몰부피 측정
3. 물-에탄올 계의 성분별 분몰부피 측정
5. 결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