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의 역사, 동녘 2012 1. 개항과 서구 건축양식의 유입
2. 식민지시대 토막민의 삶
3. 식민지시대 서양식 건물
1) 서울역
2) 조선총독부
4. 주택
1) 조선주택영단의 주택설계
2) 해방이후 도시의 주거 상황
3) 도시형 한옥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으로 매우 화려해졌다) 중정형 마당을 각 실이 둘러싸며 배치
벽돌, 유리, 함석등 새로운 재료 추가
개량한옥 → 전통적 한옥의 벽돌대신 타일을 마감재로 사용하기도 하고 페인트와 니스의 사용도 보편화 되었다
#조선영단주택
1941년 조선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택의 겹집형식을 일부 보이고 있다.
② 조선주택영단의 표준설계에 없던 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③ 마루는 서양식 주택의 거실 적 성격을 일부 수용하여 거실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되고, 마루는 마당에 대하여 열린 구성이 아니라 현관이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있는 방들을 연결해 주는 동선인 동시에 현관과 복도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영단주택의 평면과는 대조를 보이게 된다.
③ 길과 向
ㄷ자형의 평면들은 대부분을 차지하는 남쪽으로 열린 ㄷ자형(동쪽진입)과 그 보다는 적은 경우인 동쪽으로
|
- 페이지 4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국의 합의하에 이루어 지는 경향이 짙었다.
나.1960년대
1962년 주택사업의 업무가 보건사회부로부터 건설부( 구 국토건설청)로 이관되고 동년 7월에는 대한주택영단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 대한주택공사가 설립되면서 주택금융정책도 발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