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05건

이 뚜렷했다. 원인은 간음이며, 죽은 원인은 얻어터짐이다. 당진(唐津) 백성 손도인(孫道仁)이 홍귀산(洪貴山)을 죽였다. 역주 흠흠신서(欽欽新書) 3 법의학에 대해 조사하면서 결론이 막역해서 고민이 많았다. 하지만 사례를 뒤지다가 흠흠신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실록보궐정오』는 가장 적게 고쳐진 수정본으로 경종즉위년 『숙종실록』을 편찬 할 때는 노론이 중심이 되었지만 1721년 신임사화로 노론이 실각하고 소론이 정권을 잡다가 영조가 즉위하자 다시 노론이 정권을 잡았다. 하지만 1727년 정미환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4.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실록』권 37, 인조 16년 8월 庚子, 35책 32면. 3)『태종실록』권 26, 태종 13년 7월 己丑, 1책 677면. 4)『영조실록』권 29, 영조 7년 6월 庚子, 42책 261면. 5)『성종실록』권 291, 성종 25년 6월 丙子, 12책 547면. 6)『순조실록』권 24, 순조 21년 12월 戊寅, 48책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실록> 22년 7월 24일 (업동의 사건기록)」 업동의 사건은 매우 복잡하여 자세히 살피기는 어렵고, 다만 이를 통해 숙종 22년에 술집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영조실록> 4년 6월 18일 조에 실린 형조판서 서명균의 상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실록>, 『영조대왕실록』, 여강출판사 Ⅰ. 머리말 ㅡ 한중록의 문학적 가치와 논의할 방향 Ⅱ. 제 1장 ㅡ 작가와 작품의 배경소개  1. 조선조 여성작가 ‘혜경궁 홍씨’  2. 작품의 역사적 배경 Ⅲ. 제 2장 ㅡ 작품 ‘한중록’ 분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2건

영조실록》권30, 7년 9월 21일 신사 訓鍊都監言 : 本局新備銅砲五十 紅夷砲二 所載車五十二輻 而銅砲 行丸 爲二千餘步 紅夷砲行丸 爲十餘里 此實緩急可用者 紅夷砲卽我國新制 進備睿覽 請紀監者勞上許之 그러므로 중국이나 일본이 홍이포를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500원
  • 발행일 2009.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영조로부터 세자의 역모 의심을 키워 나갔고, 최종적으로 노론은 사도세자의 죽음과 함께 소론의 영수인 조재호를 제거하였다. ‘성격갈등설(광증설)’의 주요논지는 『閑中錄』뿐만 아니라 여러 실록 속에서 등장하는 사도세자의 병에 관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4,000원
  • 발행일 2016.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