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凉德(이여만학량덕)
으로 旣無誠正之工(기무성정지공)하고 亦無修齊之效(역무수제지효)어늘 而白首衰耗
(이백수쇠모)에 三講此書(삼강차서)하니 豈不自乎(기불자육호)아
자양서문에 어찌 이르지 아니하였던가 오직 있어 능히 그 성품을 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후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한자와 전혀 내용이 다른 한글을 창제하게 되자 소위 유교문화에 경도돼 있던 학자라든지 관리들과 심한 갈등이 일어난 것 이다.한글의 창제는 지식인들 사이에 엄청난 반발이 일어났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6.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문고전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학주(2008) 중국문학사, 신아사
손종섭(2005) 다시 옛 시정을 더듬어-한국 역대 한시 평설, 태학사
심경호(2002) 한국한시의 이해, 태학사
김태준 엮음(2002) 고전문학사, 국어국문학과 고전산문연구실
황패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4.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왕의 생각을 읽어보자. 일단, 그 당시 우리나라에는 배달말이라 불리는 말을 쓰고 있었다. 한문은 이 배달말을 표현해내기에 맞지 않은 점이 많았다. 게다가 우리의 말을 다른 나라의 글자를 빌려 쓰는 점을 세종대왕은 안타깝게 여겼으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8.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왕의 생각을 읽어보자. 일단, 그 당시 우리나라에는 배달말이라 불리는 말을 쓰고 있었다. 한문은 이 배달말을 표현해내기에 맞지 않은 점이 많았다. 게다가 우리의 말을 다른 나라의 글자를 빌려 쓰는 점을 세종대왕은 안타깝게 여겼으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5.09.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