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층군
진주층(=동명층)
금일 조사층
하산동층
낙동층(기저)
3. 조사 내용
(1) 주상도 (앞 붙임 1:방안지), 지질도 (앞 붙임 2)
(2) 연구 내용 종합
Site - A
< 화강편마암 >
1) 장 소: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삼청리
2) 층분류 : 경상누층군의 하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왜관도폭(Tateiwa, 1929)에서 설정되었는데 층의 상한은 최초의 자색층 바로 아래층이다. 층의 두께는 진주에서 550m, 합천에서 740m로 추정되며, 주로 역암, 사암, 미사암, 셰일 및 탄질셰일로 구성되며 하부는 역암과 사암으로 구성되어 신동층군
지층 리졸리스, 한반도지층 제4기층서, [지층, 한반도지층, 리졸리스, 제4기층서, 단구, 선사시대 유적지층]지층과 한반도지층, 지층과 리졸리스,,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동층군(낙동층군)의 사암 구성성분은 전반적으로 상부로 갈수록 장석량이 증가하며, 특히 진주층의 사암에 있는 장석은 비율이 33.1%로서 주로 정장석과 사장석이며 미사장석도 발견이 된다. (고인석,1986) 단결정질 석영도 42.2%에 달한다.(양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동층군 최 상부 층인 진주층을 이루고 있는 주요 구성암석중의 하 나이다. 세립사암, 항력사암, 사질셰일, 혹은 소규모의 석 회암과 교호되어 분포되어 있다. 특히 생성당시 화산활동 을 거의 수반하지 않았고, 탄질셰일과 곳곳에서 호층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2.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