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접)
⑤ 변두리 이음
(끝단 용접)
(2) 용가재의 가공형태에 따른 분류
용가재 – 용접을 위해 녹아 들어가는 재료
① 버트 용접
단순히 맞대기 용접
접촉부분이 전기 저항열로 가열되어 융합되는 방법 1. 용접이음부의 종류와 홈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6.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가재(filler metal): 용착부를 만들기 위하여 녹여서 첨가하는 금속, 따라서 용접봉은 용가재에 속한다.
용극(consumable electrode) : 각종 아크 용접 및 아크 절단에서 아크중에서 아크 중에서 용융하여 소모되는 전극
용접금속(weld metal) : 용접부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접에 적합하다.
● 가접
용접을 하면 용접부는 국부적으로 매우 높은 온도로 가열되므로, 모재는 큰 내부응력이 생겨, 주철의 경우는 균열이, 연강은 변형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재의 이음부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예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1.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접을 행함
<가스용접방법?>
<융 접>
접합하려는 두 모재의 접합부를 가열하여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하여 모재 또는 모재와
용가재를 융합하여 접합
<압 접>
이음부를 가열하여 큰 소성변성을 주어 접합하는 방법.
접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접물을 정확하게 초점을 맞출수 있다. 또한 좁고 깊은 접합부도 용접할 수 있으며 수축과 뒤틀림이 최소화되어 용접 품질 또한 좋다. 게다가 용접부는 강도와 연성이 양호하고 미세기공이 없으며 공정시 진공 또한 필요 없다. 용가재도 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