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의 ‘존비법’은 ‘라체’, ‘야셔체’, ‘쇼셔체’, ‘반말’로 구분한다.
‘宗社애 功이’에서 ‘-애’는 부사격 조사이며, ‘-이’는 주격 조사이다. ‘:뷔어시늘’는 ‘뷔다’의 어간 ‘뷔-’에 ‘-거시늘’이 결합했다. ‘거’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비어천가> 제102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1. 국문 가사 및 한문 가사
국문 가사
한문 가사
시름 :업스샤 이 지 1. 국문 가사 및 한문 가사
2. 전고(典考)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용비어천가”, 2010, 한국문화사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허웅, “용비어천가”, 1955, 정음사 1. 국문 가사 및 한문 가사
2. 전고(典考)
3. 국어학적 분석
4. 현대어 풀이 및 15세기 국어의 특징 정리
<참고 문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확인할 수 있다. 특히, ‘ 톤 자히’에 실현된 선어말 어미 ‘-오-’는 15세기 국어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이다. 둘째, ‘-ㄹ’, ‘-건마’과 같은 연결 어미와 ‘ 톤 자히’에서 ‘-ㄴ’과 같은 관형사형 전성 어미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김상억, “용비어천가”, 1993, 을유문화사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조규태, “용비어천가”, 2010, 한국문화사
허웅, “우리 옛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