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자의 진동주기를 구하여 이론값과 비교해보았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오차가 거의 없었으며 두 번째 실험에서는 한 군데에서만 10%가량의 오차가 발생하고 나머지에서는 오차가 거의 없었다.
막대진자와 원반진자의 주기를 구하는 과정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자의 주기는 막대진자의 질량과 무관하다.
→ 주기가 최소가 되는 길이를 미분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14.43cm 일 때 주기가 최소가 된다.
2) 원반진자
→ O1보다 O2에서 주기가 더 짧아졌다가 O3에서 다시 증가한다.
→ 주기가 최소가 되는 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되었고, 이론상으로 계산된 주기와는 큰 오차가 없었다. 고정점의 위치에 따른 주기의 큰 변화는 없었다.
(2) 원반진자 : 원반진자 또한 이론상의 주기와 큰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고정점이 변해도 주기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
(3) 비틀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1
1.100
1.150
1.200
1.150
1.136
-1.23
O2
1.100
1.000
1.150
1.083
1.078
-0.46
O3
1.159
1.163
1.200
1.174
1.160
-1.21
(2) 원반진자
각 고정점 사이의 거리
OO1
5.0 cm
OO2
7.0 cm
OO3
9.0 cm
고정점
측정값
이론값(T)
오차(%)
T1
T2
T3
Te(평균)
O1
0.750
0.800
0.800
0.783
0.766
-2.22
O2
0.763
0.750
0.75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자는 길이가 더 길고 얇은 만큼 밑 부분 끝에 더 큰 힘이 작용하게 되고, 그로 인해 주기가 더 길어졌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반면 원반진자의 경우에는 형태가 넓적한 만큼, 힘이 분산되고 그로 인해 주기가 짧아졌다는 것이다. 또한 실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