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앙생가이다. -
2) 원앙생가의 원문과 그 번역
< 원앙생가의 원문>
月下伊底亦
西方念丁去賜里遺
無量壽佛前乃
惱叱古音多可荳白遣賜立
誓音深史隱尊衣希仰支
兩手集刀花乎白良願往生願往生
慕人有如白遣賜立阿邪
此身遺也置遣
四十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앙생가] 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우리노래를 향가라고 했을 때 고려속요도 향가라 할 수 있지만 학술적용어로는 신라시대나 고려시대의 국어가요 중 향찰(鄕札)로 표기되어 전하는 것만을 일컫을 뿐 국어가요라 할지라도 한역되어 전하거나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상적 배경
1. 불교의 유입
2. 신라 불교의 특징
Ⅵ. 작품 분석
1. 서동요
2. 헌화가
3. 처용가
4. 풍요
5. 도솔가
6. 안민가
7. 제망매가
8. 원앙생가
9. 도천수대비가
10. 찬기파랑가
11. 혜성가
12. 우적가
향가 불교, 민요 사상, 헌화가, 처용가, 풍요, 도솔가, 안민가, 제망매가, 원앙생가, 도천수대비가, 찬기파랑가, 혜성가, 우적가),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가(願往生歌) ◆
1. 원곡 月下伊低赤 (월하이저적)
西方念丁去賜里遣 (서방념정거사리견)
無量壽佛前乃 (무량수불전내)
惱叱古音多可支白遣賜立 (뇌질고음다가지백견사립)
誓音深史隱尊衣希仰支 (서음심사은존의회앙지)
兩手集刀花乎白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희명설
▶ 희명의 아이설
▶ 제3자설
② 작품의 성격
5) 도천수관음가 와 원왕생가 비교 및 대조
▶ 원왕생가 배경설화
▶ 원왕생가 해석
▶ 도천수관음가 vs 원왕생가 비교·대조문
3. 결론
※ 참고문헌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