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쪽 방향으로 흐르지만, 세포체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는 소멸되고 신경말단 부위로만 흥분이 전도된다.
유수신경의 수초는 지방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대단히 커서 축삭돌기에서 탈분극의 이동은 랑비에 결절에서만 일어난다. 그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7.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충격 → 세포체 → 축색 → 축색말단으로 흐름)하게 된다. 또한, 활동 전위가 발생된 부위는 불응기에 있기 때문에 신경충격은 발생부위로부터 한쪽 방향으로만 전도 되게 된다. 그리고 축색의 직경이 클수록 → 저항이 작고 → 전류량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위차
- 활동전위 : 탈분극상태에서 발생하는 전위
- 전도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a. 수초의 유무 : 유수신경이 무수 신경보다 흥분 전도 속도가 빠르다.
b. 축색의 지름 : 축색의 지름이 클수록 저항이 적어 흥분 전도 속도가 빠르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초의 겉을 싸고 있다.
다) 랑비에르결절 : 마디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유수신경에 있다. 이 랑비에르 결절에서 도약 전도가 있기 때문에 유수신경의 전달속도가 빠르다.
라) 유수신경, 무수신경 : 축삭의 겉을 수초와 슈반초가 싸고 있으면 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경섬유의 막은 다시 원래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어떤 신경들에는 수초가 있는데 이 두 수초는 신경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며 전기적 장애로부터 신경을 절연시키고 있다. 따라서 신경자극은 수초에 의해 둘러싸인 신경 부분이외에는 전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