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도 아닌 봉당에서 새우잠을 자면서도 꿈에나마 임을 기다리겠다는 것이다. 다만 원노래에 ‘고우닐 스 1. 서론
1-1. 문제제기와 선행연구검토
1-2. 연구범위와 방법
2. 본론
2-1. 고전시가의 율격
2-2. 속요의 율격
3. 결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동) 중치여음은 중렴(中斂)이라고 하며 구와 구, 행과 행 사이 등 노래의 중간에 오는 여음을 말한다. 후치여음은 후렴(後斂)이라고도 하며 노래의 말미에 붙는 여음으로서, 연장체 한 편의 시가가 몇 개의 연(聯)으로 이루어진 시가(詩歌) 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격, 의미를 확장하고자 쓰인 소리로서 대개 반복적으로 쓰인다.
2. 여음의 유형
가. 영탄 여음
① ‘아으’ 여음
‘아으’ 여음이 속요에 쓰인 예는 다음과 같다.
<정읍사>
아으 다롱디리
<동동>
아으 動動다리
<정과정>
아니시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격이 느껴지는 고려가요는 우리의 구전 시가문학의 백미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며 이 글을 마친다.
◎ 參考文獻
김대행, 『한국시가 구조연구』, 삼영사, 1976.
김형규, 『고가요 주석』, 일조각, 1974.
『국어학개론』, 일조각, 1989.
박병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동
4) 청산별곡
5) 서경별곡
5. 경기체가
6. 시조
1) 이화에 월백하고 ?이조년
2) 이 몸이 죽어죽어 정몽주
3) 방안에 혓는 촉불 ?
4) 어져 내일이야 ?
5) 동짓 기나긴 밤에 ?
6) 강호사시가 맹사성
|
- 페이지 46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