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8). 『융의 심리학과 종교』. 서울: 동명사
6)C.G.융, 『원형과 무의식』,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 옮김, 2002,p.105.
7)C.G.융,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p.138.
8)이부영, 『그림자』, 서울 : 한길사, 1999, p.92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9.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녀는 자신만의 개성을 가지고 있다. 집단무의식의 영향을 받을지라도, 그들의 개별성을 존중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와야 한다.
5) 원형
신화, 동화, 이야기는 여러 가지 원형을 담고 있다. 자녀들에게 다양한 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4.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능을 ‘초월적’이라고 부른 이유는 “하나의 태도에서 다른 태도로 옮겨가는 것이 유기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그것은 무의식의 상실 없이 이루어진다.” (기본저작2: 344-5; CW8, 문단145, 강조는 융의 것). 서로 어느 한 쪽이 희생당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7.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론
1. 융의 분석심리학이란
1). 의식
2). 자아
3). 페르소나
4). 개인무의식
5). 그림자
6). 집단무의식
7). 원형
8). 아니마와 아니무스
9). 자기(self)
2. 집단무의식과 개인무의식
III. 결론
IV. 출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20.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융의 인격 발달의 마지막 단계인 진정한 자기가 되는 것, 즉 자기실현(Selbstverwirklichung)에 이르게 된다. 자기실현이란 인간이 세상에 태어날 때 가지고 나온 모든 정신을 통합하는 것이다. 그 동안 인간이 소홀하게 여겼던 무의식에 관심을 갖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