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화위치인 음절 말에서의 내파음 [ ]은 /ㄱ, ㄲ, ㅋ/의 원음소의 실현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원음소는 /P/T/K/F/S/처럼 대문자로 표기한다.
) 오정란(1993)「현대 국어음운론」, 형설출판사 1. 음소의 정의
2. 음소와 변이음을 구별하는 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화(中和, neutralization)
4. 동화(同化, assimilation)
(1) 구개음화(口蓋音化, palatalization)
(2) 움라우트(umlaut)
(3) 비음화(鼻音化, nasal)
(4) 설측음화(舌側音化, lateral)
(5) 모음조화(母音調和, vowel harmony)
5. 축약(縮約, contraction)
6. 생략(省略, el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이를 보이는 경우
물,불,풀/발,벌,볼,불/박,밖,반,발,밤,방,밭 → 최소대립쌍
변이음
하나의 음운이 그 환경에 따라 여러 소리로 실현되는 것
/ㄱ/ : 어두에서 무성음[k](가난),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g](아가), 어말에서는 닫음소리[k\']로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1.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화 현상’, ‘겹받침 단순화 현상’ 등보다 더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8) 첨가
한국어의 첨가 현상으로 ‘ㄴ 첨가’가 있다. ‘ㄴ 첨가’란 종성 위치의 자음이 /i/, /j/를 만날 때, [ㄴ]를 넣어서 발음하는 것으로 ‘웬일’[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4.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이음 간의 차이는 언어학자에 의해서나 의식적으로 구별될 뿐 일반 언중에게는 잘 인식되지 않는다. 이들 변이음의 출현은 대개 ‘조건 환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상보적 분포 개념에 따라 보건대, 한 음소의 변이음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