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절 끝에 대표음 이외의 자음들은 음절 끝에 오게 되면 이들 일곱 개 대표음으로 바뀌어 발음된다.
‘낟, 낫, 낮, 낯, 낱’등이 모두 대표음인 [낟]으로 실현되는 예가 그것이다.
다음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의 구체적인 용례이다.
받침 유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머리말
Ⅱ. 본문
Ⅲ. 맺음말
Ⅳ. 참고 자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칙
1
분포의 제약
①어두 및 음절초에서의 제약([],ㄹ,ㄴ이 어두에 오기 힘들다. 어두자음군×)
②음절말에서의 제약(=음절 끝소리규칙=중화: 음절 끝에서 하나로 합쳐진다)
ㄱ,ㄴ,ㄷ,ㄹ,ㅁ,ㅂ,ㅇ만 받침자리에 온다.(겹받침은 자모순 앞의 것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머리말
중화란 어떤 음소가 특정한 조건에서 변별 기능을 잃고 구별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신지영, 차재은, 『우리말 소리의 체계』,한국문화사, p. 185.
우리나라 말에서의 중화현상에는 음절끝소리 규칙(=말음법칙, 대표음화)이 있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절 초(初)에서의 제약 - 두음법칙(頭音法則, initial law)
(2) 음절 말(末)에서의 제약 - 음절의 끝소리 규칙
3. 중화(中和, neutralization)
4. 동화(同化, assimilation)
(1) 구개음화(口蓋音化, palatalization)
(2) 움라우트(umlaut)
(3) 비음화(鼻音化, nasal)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