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존오
◈주제: 간신의 횡포를 풍자함
곳이 진다 하고
송순
◈주제: 소인들의 정계 풍파에 대한 개탄
간밤에 부던 바람에
유응부
◈주제: 계유정난으로 인한 충신의 희생을 개탄함
두터비 파리를 물고
미상
◈주제: 두터비의 자화자찬 의 냉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왕'을 '구룸'은 '신돈'을 가리키고 있으며, '중천(中天)'은 '임금의 총애를 한 몸에 지닌 높은 권세'를 가리키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초장의 '무심(無心)힝다'는 것은 '사심(邪心)이 없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조는 간신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들어가기
Ⅱ. 구체적 작품
2. 1. 탄로가 - 늙음에 대한 달관
2. 2. 정치적 좌절 - 이조년과 이존오
2. 3. 온건파의 길
2. 4. 급진파의 길
Ⅲ. 맺음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존오
1.2.3. 사랑의 이미지
<설월(雪月)이 만창(滿窓)한데> - 작자미상
<비난 오는구먼> - 작자미상
1.2.4. 그 외의 이미지들
<오우가 中 구름 빛이 좋다하나> - 윤선도
<춘산에 눈 녹인 바람> - 우탁
<開窓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0.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존오(1341~1371)
신돈을 규탄하다가 겨우 살아나서 은거하고 있다가 젊은 나이로 울분 때문에 죽음
ex) : <논신돈소> : 신돈으로 인한 폐해를 논함
<석 탄 행> : 공주 석탄이라는 곳으로 가면서 지은 칠언고시. 백제 멸망의 사적을 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